육아 정보

기저귀 떼기, 언제부터 어떻게?

테이크샤인 2025. 4. 17. 08:00
728x90
반응형

기저귀 떼기, 언제부터 어떻게?

첫 시도에 성공한 실전 꿀팁까지 공개!


기저귀 떼기…
생각만 해도 막막하셨죠?
언제 시작해야 하는지, 어떤 방식으로 해야 하는지, 실패하면 어떡하지?
이런 고민은 대부분의 부모님들이 겪는 자연스러운 과정이에요.

저도 아이가 24개월쯤 됐을 때 본격적으로 기저귀 떼기 훈련을 시작했는데요,
그때 느꼈던 시행착오와 효과 있었던 꿀팁을 함께 정리해볼게요!


 기저귀 떼기, 언제 시작해야 할까?

보통은 24개월~36개월 사이에 많이 시작하지만
정확한 시기는 아이의 준비 상태에 따라 달라져요.

 시작할 준비가 된 신호들

  • 쉬/응가 후 기저귀가 불편하다고 표현하기
  • 소변을 보기 전에 알려주거나, 눈치를 보는 행동
  • 스스로 바지를 내리고 올릴 수 있음
  • 기저귀가 2~3시간 이상 마른 상태로 유지됨

 위 중 2~3가지 이상 해당된다면 시도 OK!


 기저귀 떼기 훈련 방법 3단계

1. 화장실 친해지기

  • 아기용 변기나 변기 어댑터를 아이가 익숙하게 느끼게 해줘요
  • 앉아만 있어도 칭찬! 즐겁게 시작하는 게 핵심이에요

2. 일정한 시간에 앉히기

  • 밥 먹고 10~15분 후,
  • 잠에서 깨고 나서,
  • 외출 전 등 일정한 루틴으로 앉히는 게 좋아요

앉는 시간은 5분 이내! 부담 주지 않는 게 중요

3. 실수해도 화내지 않기

  • 기저귀 없이 지내다 보면 당연히 실수해요
  • 이때 화내면 아이는 오히려 불안감을 느껴요
  • 실수했을 땐 “괜찮아~ 이제 변기로 가보자!” 라며 다독이기

 실전 꿀팁! (경험 공유)

  • 팬티형 기저귀 or 아기 팬티로 전환해보세요
    → 스스로 ‘쉬 마려워’ 인식하기 쉬워요
  • 아이와 함께 기저귀 졸업 달력 만들기
    → 스티커 붙이면서 동기부여 UP
  • 부모가 먼저 시범 보여주기
    → 아이는 흉내내는 걸 좋아하니까요!

 기저귀 떼기 실수, 이렇게 피하세요

  • “왜 아직도 못하니?” 비교하지 마세요
  • 갑자기 외출 많아질 땐 훈련 잠시 멈춰도 괜찮아요
  • 강제로 앉히면 반감만 생겨요

 결론: 내 아이의 속도에 맞춰주세요

기저귀 떼기는 훈련보다는 습관 형성이에요.
우리 아이의 속도에 맞춰 기다려주고,
작은 성공도 크게 칭찬해주는 게 가장 중요한 방법입니다!

 

728x90
반응형